안녕하세요! 잡학, 여행, 음식을 사랑하는 블로거 가을이짱짱입니다. 퇴근 후 시원한 맥주 한잔하며 이런저런 생각에 잠기는 시간, 다들 좋아하시죠? 저도 어제 한잔하다가 문득 '어? 나 상생페이백 9월분 들어왔는데, 이거 어떻게 쓰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주변에 물어봐도 다들 '신청은 했는데 어떻게 쓰는지는 모르겠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안내 문자는 왔는데, 막상 어떻게 등록하고 어디서 써야 하는지 설명이 자세하지 않아 답답하셨던 분들 많으셨을 겁니다. 특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말에 더 복잡하게 느끼셨을 텐데요.
그래서 오늘, 저 가을이짱짱이 9월분 상생페이백을 받으신 분들을 위해, 그리고 앞으로 받으실 분들을 위해! 꽁꽁 숨겨진 것만 같았던 상생페이백(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속 시원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이것만 따라 하시면 오늘 저녁부터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 잠깐! 상생페이백이 도대체 뭔가요?
사용법을 알아보기 전에, 상생페이백이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넘어갈게요. 상생페이백은 작년(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보다 올해(2025년) 9월~11월 카드 사용액이 더 많다면, 그 **증가분의 20%를 돌려주는 정부 환급 제도**입니다.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아주 쏠쏠한 혜택이죠.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 환급금은 현금으로 계좌에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됩니다. 즉, 여러분이 받으신 '상생페이백'이 바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인 셈입니다. 별도로 전환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한 게 아니랍니다!
핵심 요약: 상생페이백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따로 전환할 필요 없이, 이 상품권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만 알면 됩니다.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을 위한 필수 준비 (단 3단계!)
자, 이제 본격적으로 사용법을 알아볼까요? 지급받은 상품권을 사용하기 위해선 아주 간단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딱 한 번만 설정해두면 앞으로는 신경 쓸 필요 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단계: '온누리상품권' 앱 설치 및 회원가입
가장 먼저 스마트폰에 '온누리상품권' 공식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모두 지원하니 각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해 주세요.
앱을 설치한 후, 본인인증을 통해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완료합니다. '상생페이백'을 신청하셨다면 이미 가입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2단계: 내가 사용하는 신용/체크카드 등록하기 (⭐가장 중요!⭐)
회원가입을 마쳤다면, 앱에 내가 평소에 사용하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이 단계가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결제는 이 등록된 카드로 하기 때문입니다.
앱 하단의 '결제수단 관리' 또는 '내 지갑' 메뉴로 들어가서 본인 명의의 카드를 등록해 주세요. 최대 10장까지 등록할 수 있으니 자주 쓰는 카드는 모두 등록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단계: 준비 완료! 이제 결제만 하면 끝!
네, 이게 끝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이제 여러분은 지급받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다.
💳 그래서, 결제는 어떻게 하나요? (How to Pay)
사용법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별도의 앱을 켜거나 "상품권으로 결제해주세요"라고 말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 가맹점에서, 위에서 등록한 신용/체크카드로 평소처럼 그냥 결제하세요!
그러면 결제 시스템이 알아서 내가 보유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잔액을 먼저 차감하고, 잔액이 부족할 경우 나머지 금액만 카드 대금으로 청구합니다. 결제 후에는 앱에서 상품권 사용 내역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내가 보유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50,000원
- 식당(가맹점)에서 등록된 카드로 30,000원 결제 시:
→ 온누리상품권 30,000원 자동 차감 (카드값 0원 청구)
→ 남은 온누리상품권 잔액: 20,000원
일부 가맹점에서는 QR 결제도 지원하니, 앱을 통해 QR코드로 결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사용처 총정리)
가장 궁금해하실 사용처입니다. 기본적으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가게 대부분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 사용 가능한 곳
- 전통시장, 동네 마트, 정육점
- 음식점, 카페, 빵집, 분식집 등 동네 식당
- 미용실, 의류점, 안경점, 약국, 병원/의원(상급 종합병원 제외)
- 학원, 서점, 문구점, 카센터 등 생활 밀착형 가게
-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기업 직영점 제외): 동네 편의점,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BHC, 교촌치킨 등 대부분의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온라인 사용처: 우체국쇼핑, 롯데ON 온누리스토어, 온누리마켓 및 '땡겨요'와 같은 일부 공공 배달앱 등
❌ 사용 불가능한 곳
- 대형마트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및 기업형 슈퍼마켓(SSM)
- 백화점, 아울렛, 면세점
- 온라인 쇼핑몰 (지정된 곳 외 대부분 불가)
- 스타벅스 등 대기업 브랜드의 직영점
-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
- 세금, 공과금, 통신요금 등
내 주변의 정확한 사용처가 궁금하다면, '온누리상품권' 앱 내의 '가맹점 찾기' 기능을 이용하거나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에서 검색해보시면 편리합니다.
🏃♂️ 아직 상생페이백 신청을 안 했다면?
혹시 이 글을 보고 '아차, 나 아직 신청 안 했는데!' 하시는 분이 계신가요? 걱정 마세요! 상생페이백 신청은 2025년 11월 30일까지 가능합니다. 지금 신청해도 9월, 10월 소비 증가분이 소급 적용되어 한 번에 지급되니 잊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 신청 방법: 상생페이백 공식 누리집 (상생페이백.kr)에서 온라인 신청
- 신청 기간: ~ 2025년 11월 30일(일) 24:00까지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셨던 상생페이백, 즉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복잡하게만 느껴졌는데, 막상 해보니 정말 별거 아니죠? 이제 지급받은 소중한 환급금, 잊지 말고 동네 상점에서 알뜰하게 사용하시면서 소비의 즐거움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지금까지 가을이짱짱이었습니다. 😊
'Knowlege book > 유용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비서가 탑재된 미래형 브라우저, Perplexity Comet 사용 후기 및 장점 총정리! (0) | 2025.10.18 |
---|---|
2025년 상생페이백 온누리상품권 지급일, 신청 방법 및 사용법 총정리! (0) | 2025.10.16 |
서울 전역 규제지역 지정, 저평가 지역에는 '양날의 검'? (실수요자 필독) (0) | 2025.10.15 |
개인 중고차 직거래 완벽 가이드 (0) | 2025.10.15 |
원화 약세가 주는 충격, 1400원대 원달러 환율의 심각성 (0)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