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전에 사용했었는데
팀원이 물어봐서 다시 찾아서 알려줌~
필요로 하는 사람은 유용한 Tip일듯.
<%
filename = "result_"&date()
Response.Buffer = TRUE
Response.ContentType = "application/vnd.ms-excel"
Response.AddHeader "Content-disposition","attachment;filename=" & filename & ".xls"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 탭으로 구분하였음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
filename = "result_"&date()
Response.Buffer = TRUE
Response.ContentType = "application/vnd.ms-excel"
Response.AddHeader "Content-disposition","attachment;filename=" & filename & ".xls"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 탭으로 구분하였음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Response.write "111 222 333 444"
%>
반응형
'생활정보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D5 알고리즘 (0) | 2007.04.20 |
|---|---|
| 브랜드스톡 선정 `2007년 1분기 100대 브랜드` (0) | 2007.04.19 |
| "나는 아이비가 아니야" 메이비 '굴욕 동영상' (7) | 2007.03.01 |
| 주식 초보자가 가장 빨리, 쉽게 매수/매도 시점을 찾는 방법은? (0) | 2007.02.23 |
| 적정 손절매 기준은 손실율 15%선 (0) | 200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