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아침, 만원 대중교통에서 휴대폰이나 카드를 꺼내기 위해 가방을 뒤적이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특히 요즘처럼 춥거나 더운 날씨, 혹은 양손 가득 짐이라도 든 날엔 그 짧은 순간이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닙니다.
하지만 이제 주머니나 가방에서 아무것도 꺼내지 않고, 그저 '쓱' 지나가기만 해도 결제가 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바로 '태그리스(Tagless)' 결제 덕분인데요.
오늘은 이 편리한 태그리스 기술이 서울과 경기도 대중교통에 어디까지 적용되었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누가(어떤 기기가) 사용할 수 있는지 꼼꼼하게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태그리스(Tagless)'란 무엇인가요?
이름 그대로 '태그(Tag)'를 할 필요가 없는(Less) 결제 방식입니다.
기존 교통카드는 NFC(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단말기에 10cm 이내로 가까이 대야(태그) 했습니다. 반면, 태그리스는 BLE(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덕분에 약 10m 거리에서도 인식이 가능해, 휴대폰을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어둔 채로 게이트나 단말기 근처를 지나가기만 해도 자동으로 결제가 완료됩니다.
한마디로 '워크스루(Walk-through)' 결제가 가능해진 것이죠!
2. 태그리스 이용 방법 (안드로이드 전용)
이용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 현재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한 자동 태그리스는 안드로이드 기기만 지원합니다.)
- ① 전용 앱 설치: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합니다. (안드로이드 Google Play Store)
- ② 카드 등록 및 설정: 앱 내에서 사용할 교통카드(선불형 또는 후불형)를 등록합니다.
- ③ 태그리스 기능 켜기: 앱 설정 메뉴에서 '태그리스 결제 사용하기' 또는 'NFC/태그리스'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 ④ 블루투스(BLE) ON: 휴대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항상 켜두어야 합니다. (BLE 5.0 이상 지원 기기 권장)
- ⑤ 그냥 통과하기: 이제 태그리스가 지원되는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 단말기 근처를 지나가면 "태그리스"라는 음성 안내와 함께 자동 결제됩니다.
3. 그래서,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서울·경기 현황)
가장 궁금해하실 이용 가능 지역입니다. 현재는 일부 노선에서 시범 운영 및 적용 중이며,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안드로이드 '모바일티머니' 앱 기준)
1) 서울특별시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전구간,단 보문역 제외)
- 2026년 부터 시내 버스 전면 도입 (아래 미래 전망 참고)
2) 인천
- 인천 1,2호선 : 전구간
- 7호선: 석남-까치울
3) 경기도
- 경기도 광역버스 전체
- 경기 경전철: 김포골드라인 (모든 역사에서 이용 가능)
- 경기 시내버스: 용인시, 의정부시 경유 일부 시내버스 노선 (※ 2024년 4월 기준)
[정보] 경기도 태그리스 이용 가능 시내버스 노선 (용인/의정부)
최근 경기도 용인시와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노선이 대거 추가되었습니다. 자주 이용하시는 노선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자료 기준: 2024. 4. 19.)
[용인시 및 경유 노선]
수원여객: 13-1, 3, 37, 5, 27
용남고속: 34-1, 34, 2-1, 9, 9-1, 34
대원버스: 390
제부여객: 15-1
화성여객: 116-3, 720-3
경기고속: 720-1, 720-2, 22-11, 700-2, 119, 34-2, 22-7, 22-13
대원고속: 660, 60, 65, 65, 60, 375
경남여객: 820, 10, 66, 66-4, 10-5, 65, 690, 55, 20, 22-1, 22, 3, 24-2, 71-2, 91, 103, 10-2, 670, 95, 68, 88, 92, 24, 24-1, 95-1, 81, 10-4, 10-3, 2, 99, 94, 13, 21, 77, 78, 45, 6, 7, 8, 24-3, 9, 83-1, 84-1, 82, 85, 11, 89, 90, 97, 12, 10-1, 10-7, 93-1, 14-1, 88-1, 14-3, 16, 970, 105, 11-1, 72, 25, 101, 76-5, 73-3, 70, 71-1, 74, 66-4, 75
백성운수: 35, 15
[의정부시 및 경유 노선]
경기운수: 21
명진여객: 10-1, 72-1, 10-2, 25-2, 1-1, 1-3, 57-1, 34, 360, 25-1
선진시내버스: 33, 72-3
진명여객: 118, 31
평안운수: 1-8, 1-9, 1-7, 56, 1, 11, 23, 35, 3, 1-5, 36, 12, 7, 39, 8, 133, 5
포천교통: 72
* 본 목록은 2024년 4월 19일 기준 자료이며, 노선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출처: 경기도)
4. 미래 전망 (2026년 서울 버스 전면 도입!)
아직은 일부 노선에 불과해 아쉬우셨죠? 하지만 정말 반가운 특급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오늘(2025년 10월 27일)자 기사에 따르면, 서울시가 2026년부터 서울 시내버스(약 7,500대) 전체에 태그리스 결제 시스템을 전면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인식 정확도(여러 명이 동시에 지나갈 때의 오류 등)를 개선하여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나아가 서울 지하철 1~8호선 역시 2027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니, 정말 '지갑 없는 대중교통'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네요.
5. 미리 알아둘 단점과 유의사항
물론 이렇게 편리한 태그리스 시스템에도 아직은 몇 가지 단점과 유의사항이 존재합니다. (주로 안드로이드 이용자 기준)
① 블루투스 ON = 배터리 소모
태그리스는 BLE(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이라 휴대폰의 블루투스 기능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합니다. 기존 NFC 방식보다 휴대폰 배터리 소모가 빠를 수 있다는 점은 감수해야 합니다.
② 인식 오류 (중복/미인식)
가장 많이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게이트를 통과할 때, 혹은 버스에서 하차 시 단말기 근처를 지나가기만 해도 의도치 않게 결제가 시도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인식이 아예 안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고요. 이 때문에 서울시에서도 인식률을 99.9%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③ 앱 설치 및 실행 필수
물리적인 카드와 달리, '모바일티머니' 앱을 필수로 설치하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또는 최소한 블루투스 권한 허용)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휴대폰이 꺼지거나 앱이 오류로 종료되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을이짱짱's Tip]
만약 태그리스 인식이 불안정하거나 원치 않는 결제가 걱정된다면, '모바일티머니' 앱 설정에서 'NFC 우선' 모드를 선택하거나 '태그리스' 기능을 잠시 꺼두고, 기존처럼 휴대폰을 직접 태그(접촉)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마치며
태그리스 결제는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양손에 짐이 많은 분들, 유아차를 끄는 부모님들,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분들에게는 정말 큰 도움이 되는 '배리어 프리(Barrier-free)' 기술입니다.
아직은 배터리나 인식률 등 개선해야 할 점이 남아있지만, 2026년 서울 버스 전면 도입을 시작으로 우리 일상에 빠르게 자리 잡을 것 같습니다.
오늘 제가 정리해 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바쁜 출근길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유용한 잡학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Knowlege book > 유용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동차 AUX 블루투스 '윙-' 잡음, 단돈 몇천 원으로 해결한 후기 (0) | 2025.10.30 |
|---|---|
| 가을인데 0도? 급히 꺼낸 겨울 코트 '하얀 곰팡이' 완벽 제거 및 예방 총정리 (0) | 2025.10.28 |
| 2025 북일고 입학, '올A'도 떨어진 이유? (2026학년도 입학전형, 장학금 총정리) (1) | 2025.10.27 |
| "주황색 불 안녕!" LG 퓨리케어 정수기 필터(WD501) 셀프 교체, 10분 만에 끝내기 (모델별 초기화 팁 총정리) (0) | 2025.10.26 |
| 경기도 버스 요금 인상 (2025년 10월 25일), 6년 만의 조정... 구리-하남 1-4번 뚜벅이의 눈물과 절약 꿀팁 (K패스, The 경기패스 총정리) (0) | 202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