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al Life/애견낚시물생활

봉돌, 구멍찌/수중찌 부력표

by 가을이짱짱 2006. 10. 29.
반응형

찌에 표기된 숫자는 부력을 나타냅니다.

구멍찌는 부력을 가지고, 수중찌나 봉돌을 침력(가라앉으려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숫자는 어느 정도의 침력을 가진 수중찌나 봉돌을 달아야 적당한지를 나타내 주는 표시입니다. 3B라면 -3B의 수중찌나 봉돌을 다는 것이 적당하다는 뜻입니다.

물론 현장상황에 따라 -2B의 수중찌나 봉돌을 달고 목줄에 좁쌀봉돌을 더 무겁게 물려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쨌든 전체적으로 구멍찌 아래에 들어가는 봉돌이나 수중찌 침력의 합이 -3B 정도가 적당하다는 표시입니다.

(여기서 '무게' 와 '침력'은 구분되어야 합니다. 무게는 그 물체 자체의 무게이며, 침력은 가라앉으려는 힘입니다. 바둑돌보다 통나무가 무겁지만 바둑돌은 가라앉고 통나무는 뜹니다.  봉돌의 경우는 자체무게를 침력으로 생각하시면 되지만 수중찌의 경우는 무게와 침력이 다릅니다. -3B 수중찌라면 수중찌 자체의 무게가 아니라 -3B 봉돌이 가진 침력과 같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3B+B 라는 식으로 표기되는 것도 많습니다. 이는 -3B 수중찌나 봉돌을 채우고 나서도 -B 정도의 봉돌을 더 물려도 될 정도의 여유부력이 남아있다는 뜻입니다. 만일 그 채비에 -B이상의 봉돌을 물려버리면 찌는 가라앉을 것입니다. 이렇게 여유부력을 두는 이유는 바다에서는 파도나 조류 등의 힘이 찌에 가해지기 때문에 그것들을 상쇄하기 위해 약간의 여유부력을 더 두는 것입니다.


부력단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바다낚시에서는 찌를 먼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봉돌의 무게를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수심이 깊어서 빨라 가라앉혀야 하거나, 조류나 파도가 강해서 채비를 안정시켜야 할 경우는 무거운 봉돌이나 수중찌를 선택하고 이에 맞는 구멍찌를 채워주고, 그 반대일 경우는 가벼운 수중찌나 봉돌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일단 개념을 잡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수심 5미터 정도라면 3B-5B 사이에서 채비를 하되, 조류가 빠르고 강하거나 파도가 높다면 1-2단계 무겁게, 반대의 경우라면 한 단계 정도 가볍게 쓰시면 될 것입니다



(출처 : '수중찌 3B와 그냥 B와의 차이점은 먼가요?' - 네이버 지식i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