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절매 2

스페큐의 주식비기

2008.2.20~2.27 박병창, 스페큐(SPECQ) 대우증권 STX남산타워점 지점장│대우증권 증권아카데미 대표강사 그 동안 주식관련 서적을 여러권 읽었지만 이 책만큼 확실한 무언가를 제공해준 책은 없었다. 정말로 잘못된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는걸 깨달았고 거의 묻지마 투자식으로 묻어두었던 주식들도 정리했다.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만 하려고 들었지 시황의 분석이라던가 주도종목, 주도주의 판단등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던 나. 1년도 넘게 주식을 공부해 오면서 차트와 거래량의 관계에 대해서도 정확히 몰랐다니... 철저한 매도 매수 원칙을 지키고, 돈에 눈이 멀어서 투자하지 않고 승률을 높여 거대한 군중들이 모여있는 주식시장에서 살아남기. 주식을 어느정도 공부하고 어느정도 수익이나 손실도 경험했다면 이 책을 ..

적정 손절매 기준은 손실율 15%선

펀드 등 간접투자를 하지 않고 개별종목을 직접 선정, 투자에 나선 사람이라면 누구나 급락장에서 주식을 더 들고가야 할 지 아니면 과감하게 처분하고 다음 기회를 노려야 할 지 고민에 빠지게 된다. 이처럼 어느 정도 손실을 입었을 때 추가 손실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손절매' 에 나서야 할까. 삼성증권 정영완 투자정보파트장은 19일 주간 삼성투자가이드에서 코스피지수의 움직임에 대한 통계분석을 토대로 대체로 15%선을 적정 손절매선으로 제시했다. 절대적 정답은 아니지만 15%선이 손절매 기준선으로 선정된 이유는 이렇다. 원금손실이 15%선에 이르렀을 때 이를 원상복구하려면 대체로 17%이상의 수익이 나야 하나 2001년 이후 코스피지수의 움직임을 봤을 때 연초대비 15% 이상 손실이 난 뒤 반등했을 때 반등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