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2

PostgreSQL 설치 후 외부에서 접속이 되지 않을 때 조치 방법

PostgresSQL을 리눅스나 윈도우 서버에 설치 후 DBeaver등의 접속은 거의 필수입니다. 보안을 위해 쿼리 수행이나 DB작업을 위해서 매번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한다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고요. PostgresSQL을 매뉴얼에 따라 설치하고 접속을 시도하여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대부분이 리눅스 자체의 보안 설정이나 AWS 자체 방화벽의 차단을 의심하는데, 그것보다는 PostgresSQL의 외부 접속을 허용하지 않아서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아래 두가지 파일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postgresql.conf, pg_hba.conf 외부접속 허용을 위한 수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버전에 따라 경로가 틀리지만 postgresql/[버전]/data/postgresql.conf..

AWS ec2-user계정에서 root 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AWS EC2에서 인스턴스 생성 시 OS이미지로 Amazon Linux를 선택할 경우 ec2-user가 디폴트유저로 생성됩니다. AWS EC2는 보안 관계상 root를 통한 SSH 접근을 제한하며 AWS에서 생성해준 ec2-user(또는 centos, ubuntu) 사용자가 pem(ppk)파일을 통해 키페어 방식의 인증으로 접속한 후 root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접속 후 OS세부 설정을 위해 root의 권한이 필요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아래와 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1. 루트 권한으로 전환 $ sudo su를 입력하면 root로 전환됩니다. 저걸 보면 ec2-user의 권한이 얼마나 강력한지 알 수 있습니다. 2. 전환된 root 암호 설정 $ passwd root 로 root의 암호를 재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