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3

PostgreSQL 설치 후 외부에서 접속이 되지 않을 때 조치 방법

PostgresSQL을 리눅스나 윈도우 서버에 설치 후 DBeaver등의 접속은 거의 필수입니다. 보안을 위해 쿼리 수행이나 DB작업을 위해서 매번 서버에 접속하여 작업을 한다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고요. PostgresSQL을 매뉴얼에 따라 설치하고 접속을 시도하여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대부분이 리눅스 자체의 보안 설정이나 AWS 자체 방화벽의 차단을 의심하는데, 그것보다는 PostgresSQL의 외부 접속을 허용하지 않아서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아래 두가지 파일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postgresql.conf, pg_hba.conf 외부접속 허용을 위한 수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버전에 따라 경로가 틀리지만 postgresql/[버전]/data/postgresql.conf..

스마트폰 디바이스별 사이즈(해상도)

아이폰 4 : 640*960 아이폰 3GS : 320*480 아이패드 : 768*1024 갤럭시노트 : 800 * 1280 베가레이서2: 720 * 1280 갤럭시 S, S2, U, K, A : 480*800 갤럭시 S3 : 720 * 1280 갤럭시 탭 : 1024*600 갤럭시 탭 10.1 : 1280*800 옵티머스 Z,Q,마하 : 480 * 800 베가, 시리우스, 미라크, 이자르 : 480*800 디자이어, 디자이어 HD : 480*800 넥서스원 : 480*800 모토로이,모토쿼티,모토그램,모토디파이 : 480*854 엑스페리아x10 : 480*854 액스페이자x10 미니, x10미니 : 240*320 옵티머스원, 안드로-1 : 320*480 스마트볼, 모토믹스: 320*480 레전드, 디자이..

개발에 참여하다.

거의 1년 가까이 개발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런 저런이유로 SKT쪽 신규개발업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일각(?)에서는 우려되는 눈길로 바라보기도 하는데 1년이 지났다고 프로그램적인 감각이 모두 사라지지는 않았겠지. 시동 걸리려면 며칠이 소요되겠지만 팀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려면 개발 실무에 참여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어 선택했다. 그러기에 프로그램의 질이나 속도적인 면에서 부담이 가는건 사실이지만 그럴수로 멋지게 완료하여 역시 팀장은 다른다는 소리를 듣고 싶다. 에어컨도 시원하고 개발환경은 최적. 시간 배분에 최대한 신경써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