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

나스터튬 - 한련화

엘리트귀농대학 차브민 현장 방문 때 찍은 나스터튬. 한련화라고 부른다. 그 잎을 먹어보면 고추냉이 맛처럼 쌉쌀한 맛이 고기를 땡기게 한다. 꽃도 매운맛이 있어 허브비빔맛에 주로 들어간다. ◐ 이름 : 나스터튬(Nastertium) ◐ 학명 : Tropaeolum majus ◐ 과명 : 한련과 ◐ 구분 : 단년생 개화기 7~9월 화색 red, yellow, pink 이용부위 잎, 줄기, 꽃 초장 15~30cm 용도 요리 효능,효과 소화촉진, vit C 번식 파종 일광 양지 내한성 단년생 ▶ 특징 나스터튬은 한국에서는 한련화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허브중의 하나이다. 잎은 연잎을 닮았다 하여 한련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1)효과 및 이용 한련화의 잎과 꽃, 씨앗에는 톡 쏘는 매운듯한 맛을 가지고 있어 허브 ..

야생화 개화시기 및 꽃의 색상 분류

♣ 야생화의 개화시기 및 화색(색상) 분류 ♣ 우리가 정원을 가꾸고 꾸미는데 있어 빠질 수 없는 부분이 아마도 지피/야생화 일 것이다. 개화시기 및 자라는 환경, 꽃의 색상, 식물의 키 등 야생화의 특성을 분류해 놓으면 정원을 구성하고 디자인 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출처] 야생화 개화시기 및 꽃의 색상 분류|작성자 여우팅이

신나팔나리 재배

신나팔나리는 대만나리(L. formosanum)와 나팔나리(L.longiflorum)의 교잡종으로 실생재배용 백합이다. 그러므로 일명 씨백합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구근이나 인편을 이용한 절화재배방법이 개발되었으나 바이러스병에 약하므로 장기적인 구근이용이 어렵다. 씨앗을 파종하면 7∼10개월만에 꽃이 핀다. 다른 백합에 비해 종묘비가 적게 들고 구근수확, 저장 등 관리상 노력비가 들지 않아 경영상 잇점이 많다. 그러나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생육개화가 불균일하고 잎마름병에 약한 결점이 있다. 신나팔나리는 11월에서 이듬해 2월에 걸쳐 파종하고 4∼5월에 정식하면 6월에 꽃눈이 분화하고 7∼10월에 개화한다. 꽃과 잎의 모양은 나팔나리와 비슷하고 발아후 인편잎으로 생육하다가 인편잎이 5∼6매가 되면 추대한다..

나팔나리의 재배

가을에 심어 초여름에 개화하는 식물이지만 재배환경 조절로 연중재배가 가능하다. 구근은 비늘잎이 변해 만들어진다. 생육적온은 싹이 틀때는 15。C, 초기생육 및 꽃눈분화때는 15~20。C, 후기새육 및 개화기는 20。C 전후이다. 생육기에 온도가 10。C 이하가 되면 생육이 지연되고, 5。C 이하에서는 생육이 완전히 정지된다. 또한 25。C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도 생육이 완전히 정지된다. 광도가 낮으면 식물체가 웃자라거나 연약하게 되고, 광도가 높고 단일조건에서는 초장이 짧아진다. 장일하에서는 개화가 빠르나 잎수가 줄어든다. 구근은 2~3개월 휴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근내부의 생장점은 계속 활동할 뿐 아니라 뿌리도 자란다. 이러한 과정에서 0~20。C의 저온을 받아 적절한 재배조건이 되면, 지상부..

반응형